드디어 여러분께 대략적이나마 영어 공부법을 소개할 수 있게 되어서 기뻐요. 아래에 기술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어떤 방식의 공부가 이루어져야하는 가에 대한 얼개에 불과하지만, 간단한만큼 제가 말씀드리는 공부법의 핵심으로 보셔도 됩니다. 차후 각 분야에 대해서 상세히 다룰 예정이니 지금은 전체적인 공부방법에 대해 한번 가볍게 훑어보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읽기의 공부법 - 가장 이상적인 것은 자신의 전공이나 업무분야에 관련된 책이나 자료, 논문을 영어로 읽는 것입니다. 그 외에 기본적인 영어실력을 늘리고 싶다면 신문기사를 읽는 것을 추천하고, 그 다음으로 추천하는 것이 책입니다. 읽으면서 단어와 구문의 정리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넉넉하다면 꼼꼼히 공부하며 읽는 글과 많은 양의 글을 읽는 훈련을 하는 것이 좋겠지만, 시간이 충분치 않다면 꼼꼼히 읽는 쪽을 택하세요.
듣기의 공부법 - 자신이 읽는 것을 듣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자신의 전문분야에 관련된 강의를 듣거나, 신문을 읽는다면 관련 뉴스를 보는 것이 좋아요. 이런 경우 강의 내용이나 뉴스의 스크립트를 구할 수 있으면 더욱 좋겠죠. 일부 신문에서는 직접 읽은 오디오 파일을 배포하기도 합니다. 영미권의 책을 읽는다면 손쉽게 오디오북을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활자를 읽고 완전히 이해한 후, 편안하게 들릴 때까지 반복듣기를 합니다.
쓰기의 공부법 - 자신이 읽고 듣는 것을 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처음에는 자신이 읽는 텍스트를 문단마다, 혹은 챕터마다 자신의 언어로(paraphrase) 요약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요약은 글의 정독을 가능하게 하고 글의 구조를 이해하게 하며 익힌 단어와 구문을 활용할 기회를 주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점차적으로 자신의 언어를 활용하는 것에 익숙해진다면 관련 주제와 파생된 주제에 대한 글쓰기를 해볼 수 있습니다.
말하기의 공부법 - 자신이 읽고, 듣고, 써본 주제에 대해 말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자신이 쓴 요약본을 소리내어 크게 읽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요약을 반복읽기해서 입에 익숙해지게 하는 훈련을 한 다음, 쓴 글을 보지 않고 다른 이에게 그 사건이나 이야기에 대해 들려주는 상상을 하며 말해봅니다. 쓰기에 능숙해져서 다양한 글을 쓸 수 있게 되면 말하기의 주제와 방법 역시 다양해집니다.
읽기를 하지 않으면 다른 분야의 공부를 시작할 수 없기에, 이 모든 공부법의 기본은 읽기입니다. 그러나 읽기의 중요성과는 별개로 읽기'만' 하는 것은 언어의 향상을 목적으로 할 때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는 유기적 관계이기에 자신이 읽은 주제를 듣고, 쓰고, 말하는 복합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언어공부에서 시간대비 효율은 사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저는 언어의 공부시간을 문법과 듣기는 0.5배, 읽기는 1배, 쓰기와 말하기를 2배로 계산합니다. 읽는 것과 듣는 것은 수동적인 공부법이며 말하기와 쓰기는 그에 비해 능동적인 공부법이기 때문이죠.
멍하니 미국/영국 드라마를 본다고해서 저는 그걸 공부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마찬가지로 영어로 된 소설을 출퇴근 시간에 읽는다고 영어공부를 한다고 생각하지 않고요. 듣기와 읽기는 언어에서 매우 수동적인 부분이기에 의식적으로 쓰기와 말하기를 병행하여 능동적인 공부를 하지 않으면 향상 속도가 굉장히 느립니다. 그렇다고 해서 만약 '능동적인 부분인 쓰기와 말하기만 열심히 공부하면 될 게 아닌가'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그 분은 아마 대수와 삼각함수를 배우지 않아도 미적분 문제를 풀 수 있는 놀라운 재능을 가진 분일겁니다. 인간의 학습 기제는 정직합니다. 입력정보(input)가 존재해야 출력(output)을 기대할 수 있죠. 무언가를 읽고 들어서 머릿속에 집어넣지 않으면 당연히 그 주제에 대해 글을 쓰고 말을 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공부법을 읽기와 연계시킨 병행 공부법 예시를 표로 만들어보았습니다.
병행 공부법의 예시
병행 공부 분야 |
예시 |
읽기/듣기 |
|
읽기/듣기/말하기 |
|
읽기/쓰기 |
|
읽기/쓰기/말하기 |
|
읽기/듣기/쓰기/말하기 |
|
읽기/말하기 |
|
다음 글에서는 이제 이 공부법을 어떻게 각자의 목적에 맞도록 적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